화요일, 4월 23, 2024

한국, 1월 사상 최대 무역적자 기록: 동아일보

Must read

Kah Beom-Seok
Kah Beom-Seok
"학생 시절부터 문화와 예술에 깊은 관심을 가진 카 범석은 대중 문화의 세세한 부분에까지 전문 지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는 맥주를 사랑하며, 특히 베이컨에 대한 깊은 연구와 통찰을 공유합니다. 그의 모험심과 창조력은 독특하며 때로는 트러블 메이커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 1월 한국의 무역적자는 48억9000만달러로 통계 집계가 시작된 1966년 이후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전체 적자는 수출 증가율이 15.2%에 불과한 반면 수입 증가율은 35.5%에 달하면서 증가했습니다. 한국이 2개월 연속 무역적자를 기록한 것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4년 만에 처음이다. 기업 생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유가와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면서 교역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반도체 등 핵심 품목의 양호한 수출에도 불구하고 무역적자가 감지된다는 것은 개별 국가나 기업이 통제할 수 없는 에너지와 원자재의 수급이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가는 동절기 수요 증가 등 계절적 요인과 우크라이나 사태 등 지정학적 요인으로 에너지 공급망이 차질을 빚으면서 급등했다. 당분간 이러한 추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있어 한국의 무역적자가 언제 끝날지 장담하기 어렵다.

고유가만으로도 한국과 같은 수출 주도형 국가가 감당하기 어려운 리스크입니다. 문제는 에너지 문제가 올해 한국 경제가 직면한 유일한 리스크가 아니라는 점이다. 미국이 긴축 통화 정책을 시작하면서 신흥 시장에서 자금이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여기에 오미크론 변종 확산, 미중 갈등, 중국 경제 경착륙 등 리스크 요인이 쌓여가고 있다. 이러한 위험요인은 별개의 문제가 아니라 서로 연결되어 있는 복잡한 위험입니다. 코로나19 변이로 인한 경제 불확실성 증가,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한 공급망 차질, 통화정책 보장이라는 악순환 속에서 한국을 비롯한 신흥국은 기축통화 국가보다 취약할 수밖에 없다.

최근 수입이 급증한 것은 팬데믹 이후 지난해 하반기 완만한 성장세를 보인 뒤 수요 증가세가 지속되지 못한 가운데 공급망 리스크가 다시 커졌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무역적자를 ‘일시적 현상’으로 치부한 것은 경제의 이면을 종합적으로 보지 못하고 근시안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긴축통화정책과 미중 갈등 등 글로벌 리스크가 고조되는 가운데 한국은 물가상승률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가운데 경제가 매우 느리게 성장하는 ‘슬로플레이션’과 물가상승률이 지속되는 ‘스태그플레이션’을 겪을 가능성이 있다. 비율이 높고 경제 성장률이 느려집니다. 정부는 무역수지 적자에 따른 경고 신호를 무시하고 선제적으로 나서서는 안 된다.

Latest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