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Economy 중앙은행은 수출 개선과 소비 회복에 대해 경제성장 기대감을 높였다.

중앙은행은 수출 개선과 소비 회복에 대해 경제성장 기대감을 높였다.

0
중앙은행은 수출 개선과 소비 회복에 대해 경제성장 기대감을 높였다.

하반기 내수 회복 위해 금리 인하 조건

이창영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점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Photo = Photo Joint Chow Foundation]

수출 개선과 소비 회복과 관련해 한국은행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1%에서 2.5%로 상향 조정했다. 물가는 이미 정점에 이르렀고, 경기 회복 속도를 높이기 위해 통화당국이 적극적으로 금리를 인하해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한국은행은 23일 수정된 경제전망을 발표해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2.5%로 나타났다. 2월 전망치 2.1%보다 크게 상승했다. 그러나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가 안전한 수준이 아니다며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11차례 연속 3.5%로 동결했다.

증가율 상승세는 반도체 등 수출이 호조를 보이고 소비가 반등한 데다 지난달 1분기 GDP가 분기 기준으로 놀랄 만큼 1.3% 증가한 상황을 반영한 것이다.

그러나 올해 성장률은 상반기 2.9%, 하반기 2.2%로 크게 반등하며 ‘상승과 하락’ 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하반기 내수가 완전히 회복되기 위해서는 금리 인하가 “필수조건”이다. 중앙은행은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기존과 동일한 2.6%로 유지했다.

이창영 한국은행 총재는 기자간담회에서 “정책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불확실성이 더 크다”고 말했다.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