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요일, 4월 25, 2024

한국, 북한의 선전에 대한 냉전 금지를 뒤집는 것에 대한 토론

Must read

Dokgo Choon-Hee
Dokgo Choon-Hee
"분노와 겸손, 이 두 가지 대조적인 감정을 동시에 갖고 있는 독고 춘희는 뛰어난 작가입니다. 그는 커피를 사랑하며,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기법을 사용하여 이야기를 전달합니다. 그의 소셜 미디어 전문가로서의 실력은 눈부시게 빛납니다."

신현희 기자

서울 (로이터) – 입장 변화로 인해 냉전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국가보안법 개정 요구가 다시 촉발됨에 따라 수십 년 동안 북한 언론에 대한 금지 조치를 뒤집기 위한 노력에 대해 한국에서 논쟁이 격화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국가보안법은 북한 정부 웹사이트와 언론 매체에 대한 접근을 금지하여 북한의 활동을 “칭찬, 선동 또는 홍보”하려는 노력을 차단합니다.

1950~1953년 한국전쟁에서 휴전협정이 맺어져 평화협정이 아닌 엄밀히 말해 이웃 국가들은 여전히 ​​전쟁 중이다.

인권변호사 모임인 민변의 장경욱 씨는 법의 핵심 조항을 언급하며 “제7조는 북한 자료를 열람할 자유를 억압하기 때문에 북한에 대한 적의를 품도록 강요한다”고 말했다.

장씨는 1948년 공산주의를 표적으로 삼기 위해 채택되고 1991년에 마지막으로 개정된 법에 따라 기소된 사람들 중 일부를 변호했지만, 수천 명의 활동가와 반체제 인사를 투옥하고 일부는 남한의 군사 독재 기간 동안 처형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법을 위반하면 최대 7년의 징역형에 처해질 수 있지만 최근에는 집행이 완화되었습니다.

그러나 헌법재판소가 올해 헌법재판소의 반대 청원을 검토하기 전인 2021년 4월 STI 여론조사센터가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한국인의 45% 이상이 7조 폐지에 찬성하고 약 40%가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엔 자유권위원회도 표현의 자유 조항을 폐지할 것을 거듭 권고했다.

북한과의 관계를 담당하는 통일부는 지난 7월 발표한 보고서에서 윤석열 대통령에게 점진적인 언론 개방이 남북 간 상호 이해를 증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제안은 케이팝과 방탄소년단, TV 쇼 ‘오징어 게임’과 같은 글로벌 제품에 힘입어 민주주의, 경제적 지배력, 문화적 영향력을 갖춘 한국이 여전히 북한의 선전에 대해 걱정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다시 촉발시켰다. .

그리스도의 재앙에 임하라

느슨한 집행 접근 방식에도 불구하고 많은 진보적 활동가들은 당국이 여전히 법을 사용하여 정치적 목적으로 안보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기독교 싱크탱크에서 김일성 주석의 사상을 연구하고 남한에서 회고록을 펴낸 선교사 정대일이 지난 7월 경찰이 자택을 급습한 뒤 법을 어긴 혐의로 이달 체포됐다. . .

정씨는 11월 9일 석방된 뒤 수도 서울에서 열린 집회에서 “그들은 나를 기독교인의 피부를 가진 남자라고 불렀고, 그것은 나의 10년 넘게 일한 것에 문제를 제기했다”고 말했다.

경찰은 논평 요청에 응하지 않았다.

검찰 자료에 따르면 2021년에는 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250명 중 41명이 기소됐는데, 이는 2013년 289명 중 197명과 비슷한 수치에서 감소한 것이다.

헌법재판소는 지난 9월 이 법에 대한 첫 공판을 앞두고 7조에서 사용된 찬사, 선동 등 모호한 용어가 자의적 해석의 여지가 있다고 밝혔다.

그녀는 이것이 철권통치 체제가 정치적 반대자와 적들을 침묵시키기 위해 판결을 오용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청문회 전에 법원에 제출한 성명에서 국가권익감시단은 해당 조항이 모호하고 불균형하며 기본권에 해롭다고 말했습니다.

이 단체는 “극복할 수 없는 군사적, 경제적 차이와 민주주의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이유로 법으로 금지된 대부분의 활동이 더 이상 한국에 “명백하고 현존하는 위험”으로 간주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법무부는 여전히 섹션 7을 폐지하려는 계획에 항의하고 있습니다.

그녀는 성명에서 “친적 표현의 확산으로 인한 참담한 결과는 엄청난 국가 파괴와 분단의 대가를 치르고서야 해결될 수 있다”며 “이념적 자유 시장 문제를 이념적 자유 시장에 맡길 수 없다”고 덧붙였다.

토론에는 가상 사설망이나 프록시 서버를 통해 논란이 된 자료에 접근할 수 있었고 그러한 움직임이 국민의 알 권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하는 여러 학자와 언론인도 참여했습니다.

그들은 북한 영화, 노래 및 기타 콘텐츠가 이미 YouTube 및 다른 곳에서 널리 제공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반대론자들은 북한의 핵무기 개발에 대한 교착 상태가 계속되면서 당파 분열이 커지고 있는 남한에서 북한의 선전 기구가 더 많은 종북세력을 부채질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탈북자 김태산 전 체코 주재 북한 대사는 “북한은 남한에 더 많은 분단의 씨앗을 뿌리기 위해 특별히 고안된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출판물을 제작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신현혜 기자, 클라렌스 페르난데즈 편집)

Latest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