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Economy 한중일 정상회담, 4년 만에 다시 협력에 집중 – 신화통신

한중일 정상회담, 4년 만에 다시 협력에 집중 – 신화통신

0
한중일 정상회담, 4년 만에 다시 협력에 집중 – 신화통신

* 2019년 3국 정상회담 이후 4년여 만에 한중일 정상회담이 일요일부터 월요일까지 서울에서 열립니다.

* 경제적 불확실성과 지정학적 변동성 등으로 급변하는 글로벌·지역적 환경 속에서 지정학적 개입과 팬데믹으로 정체된 동북아 3국 협력 네트워크는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 창립 25년 만에 3자회의는 금융위기 대응을 위한 경제 중심의 회의에서 다양한 분야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본격적인 다단계 회의로 발전했습니다.

* 3국은 경제위기, 공중보건 위기 등 위기를 상호지원을 통해 극복해 왔으며, 이는 지역과 세계의 이익을 위한 선두주자로서 3국 협력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서울, 2020년 5월 25일(신화통신) — 2019년 3국 정상회담 이후 4년여 만에 한·중·일 정상이 일요일부터 월요일까지 서울에서 회동한다.

세 이웃 간의 기존 틀 내에서 모임이 재개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는 세 이웃이 격동하는 지역 현장과 그 너머를 통해 대화, 협력, 이동에 초점을 다시 맞출 준비가 되었음을 알리기 때문입니다.

3국 국민은 이번 회의가 3국 협력을 강화하고, 상생 결과를 달성하며, 지역 번영과 안정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희망합니다.

2024년 5월 24일 대한민국 서울 청와대를 방문하는 사람들. (신화통신/야오즈린)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

3국 정상회담과 3국 비즈니스 정상회담 등 행사에는 리창 중국 총리,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연석열 한국 대통령이 참석한다.

보호주의 경향, 무력 충돌, 공급망 구조 조정, 기후 변화 등 이 지역과 세계가 직면한 주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가 간 협력과 연대가 시급히 필요하다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경제적 불확실성과 지정학적 변동으로 인해 끊임없이 변화하는 세계 및 지역 환경에서 지정학적 개입과 팬데믹으로 인해 중단된 동북아 3국 협력 네트워크가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해졌습니다.

삼국관계는 한동안 동요를 겪었으나, 최근 고위급 교류를 통해 삼국이 이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류칭 중국국제문제연구원 부원장은 3자 회담 재개는 3국이 외교적 수단을 통해 분쟁을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강력한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류 총리는 “3국 정상이 신뢰 회복, 경제·무역 협력 확대, 문화 교류 확대, 기존 협력 메커니즘 강화 등 중요한 문제를 논의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재팬타임스는 아직 구체적인 결과를 예단하기는 이르지만 이번 회의를 개최하는 것 자체가 성과가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2024년 5월 24일 대한민국 서울 청와대를 방문하는 사람들. (신화통신/야오즈린)

한중일 3국 협력사무국 이희섭 사무총장은 신화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이번 회의는 다양한 협력 사업을 활성화하고 3국 협력을 활성화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리 총리는 “3국은 대결과 갈등이 아닌 협력을 통한 상호 상생이 국익과 국민 행복을 실현하는 유일한 길이라는 분명한 인식을 공유해야 한다”고 말했다.

광범위한 협력

창립 25년 만에 3국 회담은 금융위기 대응을 위한 경제 중심 회의에서 광범위한 분야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본격적인 다단계 회의로 발전했습니다.

분석가들은 4년여의 공백 끝에 다가오는 제9차 회의에서는 협력 메커니즘을 재구축하고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중국은 한·일과 협력해 향후 10년간의 3국 협력 비전과 기타 중요한 공동 이해를 실현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왕 부장은 2019년 12월 중국 청두에서 열린 제8차 정상회담에서 발표된 3국 협력의 길을 제시한 문서에 대해 말했습니다. 세 사람은 환경보호, 기후변화, 보건, 인구고령화, 과학기술혁신, 스포츠, 청소년 등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하기로 합의했다.

올해 정상회담에서는 인적교류 강화가 노골적으로 강조될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어 관광은 이와 관련하여 여전히 주요 동인으로 남아 있습니다. 중국 온라인 여행사 씨트립(Ctrip)에 따르면 지난 5월 골든위크 기간 동안 일본이 중국인 관광객 유치에서 해외 1위에 올랐다. 한편, 판다 열풍으로 인해 판다를 주제로 한 중국 쓰촨성 여행은 한국인들에게 인기 있는 선택이 되었습니다.

2024년 5월 24일 대한민국 서울 청와대를 방문하는 사람들. (신화통신/야오즈린)

리 총리는 세 이웃 국가가 많은 문화적 유사점을 공유하고 있다는 점을 언급하면서 세 나라의 평화, 번영, 공동 문화를 촉진하기 위해 2011년 출범한 TCS가 세 나라 국민 간의 더욱 긴밀한 유대를 촉진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말했습니다.

재단은 청소년 서밋, 청소년 대사 프로그램, 올해 청소년 스피치 대회 등의 사업을 통해 청소년 교류를 확대할 계획이다.

연구원들은 경제 통합을 촉진하고 지역 경제 탄력성을 강화하기 위해 공급망 안정성 강화, 시장 확대 및 투자 증가가 올해 최우선 의제로 남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황재호 전략글로벌협력연구소 소장은 “3자가 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을 가속화하고 자유무역 협력을 강화할 수 있을지에도 관심이 있다”고 말했다. . 공급망.

Liu는 반도체 부문을 예로 들면서 미국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산업 체인은 계속해서 일본과 한국 기업에 이익을 주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Liu는 3국 간 경쟁이 계속되고 있지만 3국이 각자 고유한 강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협력 잠재력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아시아의 중추적인 역할

3국은 경제위기, 공중보건 위기 등 위기를 상호지원을 통해 극복해 왔으며, 지역과 세계의 이익을 위한 선두주자로서 3국 협력의 중요성을 입증했습니다.

TCS 최신 데이터에 따르면 이들 3개국은 2022년 기준 세계 인구의 20%, 세계 GDP의 23.4%, 세계 무역의 18.7%를 차지하는 아시아 주요 경제국이다.

Liu는 아시아의 급속한 경제력을 강조하면서 지역 포괄적 경제 파트너십에 따른 협력이 아시아의 경제적 결속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글로벌 성장의 핵심 엔진으로서 이 지역의 역할을 강화한다고 말했습니다.

2024년 5월 24일 대한민국 서울 광화문광장을 찾는 사람들. (신화통신/야오즈린)

그는 “아시아가 경제적 유대를 강화하고 이러한 길을 이어가면서 세계무대에서 아시아의 영향력이 확대돼 21세기를 아시아 패권의 시대로 확고히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황 총리는 외부 간섭과 역사적 요인으로 인한 3국 관계의 부침에도 불구하고 “3국이 협력하면 창출될 시너지”를 강조했다.

아시아가 다시 세계사의 축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말했다. “아시아인들이 스스로 아시아의 미래에 대한 비전과 실천 계획을 만들 수 있는 아시아 논의가 필요합니다.”

리 총리는 세계화와 다자주의를 수호하는 데 있어 3국이 수행할 수 있는 핵심 역할을 지적했습니다.

그는 “자유무역과 세계화를 통해 경제성장을 이룬 3국은 자유무역체제가 위협받는 세계에서 자유무역과 다자무역체제를 보호하기 위해 긴밀히 협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Liu는 세 사람이 정기적인 대화와 협력을 약속함으로써 공통의 과제를 해결하고 상호 이익을 위해 집단적 강점을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Liu는 “협력에 대한 새로운 초점은 아시아가 세계 무대에서 평화와 발전의 초석이 될 수 있는 미래에 대한 희망을 불러일으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영상 기자: Chen Yi, Lu Rui, Liu Xingjie, Jin Haomin, Yang Zhang; 영상 편집자: Ma Ruquan, Mo Xiuyao, Zhang Yiqi, Liu Xiaorui, Yin Lu, Wei Yin, Cao Ying)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